autolisp

🎯 스플라인(SPL) → 폴리라인(PL) 변환! 이 리습(SP2PL) 하나면 해결됩니다.

hyena382 2025. 5. 22. 12:55

 

 

AutoCAD 작업 중 스플라인(SPL) 객체를 폴리라인(PL) 으로 변환해야 할 상황, 자주 겪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고도값 적용, 두꺼운 선 표현, 면적 활용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SPL 객체가 큰 제약이 됩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sp2pl 리습으로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 왜 스플라인을 폴리라인으로 바꿔야 할까?

스플라인은 자유로운 곡선을 그릴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고도(Z값) 지정 불가
  • 전역 폭(Global Width) 설정 불가
  • 두께 표현이 어려움
  • 일부 경우 면적 오차 발생

이러한 제약은 특히 지형도 작성, 다이어그램 작업, 설계 시각화 등에서 치명적입니다.


🛠️ sp2pl 리습이란?

sp2pl은 SPL 객체를 손쉽게 PL 객체로 변환해주는 AutoLISP 도구입니다. 기존의 el2pl, c2pl처럼 엘립스나 원을 폴리라인으로 변환했던 것처럼, 이번에는 스플라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 리습은 자동화 스크립트로, 반복 작업을 줄여주는 AutoCAD 고급 사용자 필수 도구입니다.


📌 사용법 요약

  1. 리습 파일 sp2pl.lsp 로드
  2. 명령창에 sp2pl 입력
  3. 변환할 스플라인 객체 선택
  4. 원본 유지 여부 선택 (Y/N)
  5. 완료 후 Ctrl + 1로 특성 확인 → 이제 PL 속성 적용 가능!

✅ 변환 후 기대 효과

  • 전역 폭 설정 가능 → 선을 굵게 표현하여 시각적 강조 가능
  • 고도(Z값) 지정 가능 → 3D 작업, 등고선 표현 시 필수
  • 면적 계산 유지 (단, 약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음)
  • 작업 일관성 확보 → 도면 전체를 폴리라인 기반으로 정리 가능

⚠️ 주의사항

  • 변환된 PL은 원본 SPL과 면적 차이가 약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정밀한 면적이 필요하다면, 원본 SPL 면적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안전합니다.
  • 지형도, 등고선 작업 시 SPL을 무작정 변환하기보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세요.

🧭 활용 예시

 

작업 유형 사용 목적 sp2pl 적용 이유
지형도 작성 등고선 표시 고도값 적용이 필요
건축 다이어그램 자유곡선 공간 표시 선 두께 표현 및 시각 강조 필요
설계 시각화 곡선형 영역 구분 폴리라인 스타일 통일화
 

🔚 마무리하며

AutoCAD에서 SPL은 간편하지만, 실무에서는 PL의 강력한 속성이 더욱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sp2pl 리습은 단순 변환을 넘어, 설계 효율성과 시각적 완성도를 높여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이제 여러분도 스플라인 문제로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이 리습 하나면 충분합니다.


📎 관련 리습 추천:

  • c2pl : 원(Circle) → 폴리라인
  • el2pl : 타원(Ellipse) → 폴리라인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해당 리습 파일도 함께 공유해뒀습니다. 

 

https://hyena382.tistory.com/31

 

리습(LISP)으로 더 쉽게! 원과 타원을 폴리라인으로 변환하는 법 🚀

🎯 오토캐드 도면 작업, 더 편리하게 할 수 없을까?오토캐드를 사용하다 보면 원이나 타원을 **폴리라인(Polyline)**으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하지만 기본 명령어만으로는 번거로운 과정

hyena382.tistory.com

 

이 게시판에서 다루고 있는 AutoLISP 을 공유 드라이브에 업로드했습니다.

AutoLISP 공유 드라이브: 
https://tinyurl.com/2hkvbb79

더불어, AutoLISP 색인표를 엑셀 파일로 만들어 함께 공유해 드리니, 필요하신 기능을 보다 빠르게 찾으실 때 활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검증된 AutoLISP을 꾸준히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출처: https://hyena382.tistory.com/5 [hyena382(CAD!GO!):티스토리]

출처: https://hyena382.tistory.com/31 [hyena382(CAD!GO!):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