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드 백업 파일(BAK)이란?
캐드에서 .DWG 파일을 저장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백업 파일(BAK) 은 기존 도면을 복구할 때 유용하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폴더가 지저분해지고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BAK 파일은 DWG 파일이 저장된, 같은 폴더에 생성됩니다.
하지만, MOVEBAK 명령어를 사용하면 원하는 폴더로 자동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TIP: 백업 파일이 필요 없다고 무작정 삭제하면 정작 필요할 때 도면 복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MOVEBAK 명령어를 활용한 백업 파일 정리 방법
✅ 백업 파일을 특정 폴더로 이동하는 방법
-캐드에서 MOVEBAK 명령어 입력
-백업 파일을 저장할 폴더의 경로 복사 (C:\CAD_Backup 등)
-캐드 창에 복사한 폴더 경로 붙여넣기
-엔터(Enter) 입력하면 설정 완료!
-이제부터 저장하는 모든 도면의 .BAK 파일이 해당 폴더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 예제:
MOVEBAK C:\CAD_Backup
이렇게 입력하면 C:\CAD_Backup 폴더에 모든 백업 파일이 자동 저장됩니다.
3️⃣ MOVEBAK 설정 초기화 (기본값으로 되돌리기)
MOVEBAK 명령어 입력 후 .(점) 입력하면 백업 파일이 다시 DWG와 같은 폴더에 저장되도록 설정됩니다.
📌 설정 초기화 방법:
MOVEBAK 입력
.(점) 입력 후 엔터
이제 BAK 파일이 DWG 파일과 같은 폴더에 저장됨
🎯 이 기능을 활용하면, 백업 파일을 한곳에 모아서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실수로 파일을 삭제하는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4️⃣ 실무에서 활용하면 좋은 점
✅ 도면 백업 파일을 정리하고 싶을 때
✅ 팀원 간 공유할 때 불필요한 파일을 최소화
✅ 실무자가 DWG만 정리하고 싶을 때
✅ 클래스룸이나 온라인 과제 제출 시 헷갈리지 않도록 설정 가능
🏆 결론: MOVEBAK 명령어를 사용하면 캐드 백업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폴더 정리를 깔끔하게 하고, 필요할 때 백업 파일을 찾아 복구할 수 있도록 설정해 보세요!
🔥 여러분의 의견은?
여러분은 캐드의 백업 파일을 어떻게 관리하고 계신가요?
MOVEBAK 명령어를 사용해 본 적이 있다면 경험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autolisp외 CAD 일반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해치와 치수 문자, 인출(지시) 문자 겹침 문제 해결법 (0) | 2025.03.07 |
---|---|
오토캐드 단축 명령어를 숫자로 지정하는 가장 쉬운 방법! 🚀 (0) | 2025.03.05 |
📐 오토캐드 텍스트 정렬 마스터하기! 🏗️ (0) | 2025.03.04 |
🚀 캐드에서 꺼진 레이어 빨리 찾고, 정리하는 3가지 핵심 방법! (0) | 2025.03.04 |
캐드 도면 최적화 필수! PU 명령어로 불필요한 데이터 한방에 정리하는 법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