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Qsio554VX3g?si=4HdBl3X4IuztdRIL
캐드(CAD) 작업에서 레이어(Layer) 관리는 도면의 정리 및 수정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잘못된 레이어 배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1. 왜 레이어 관리가 중요한가?
도면을 작성할 때 각 객체(치수, 지시선, 문자 등)를 적절한 레이어에 배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 도면 수정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림
✅ 출력 시 특정 요소가 보이지 않거나 오류 발생
✅ 협업 시 도면 해석이 어려워짐
따라서, 처음부터 객체 특성별로 레이어를 분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2. 레이어 관리의 기본 명령어
📌 (1) 레이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는 명령어
- LAYWALK (레이워크): 특정 레이어의 객체만 확인 가능
- LAYON (레이온): 모든 레이어를 활성화
- LAYOFF (레이오프): 특정 레이어의 객체를 숨김
- LAYISO (레이아이소): 특정 레이어만 남기고 나머지 숨김
이 명령어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도면 속 객체들의 레이어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2) 잘못된 레이어 객체 수정 명령어
✅ MATCHPROP (MM) – 객체 속성 맞추기
✅ PROPERTIES (Ctrl + 1) – 객체 특성 창에서 직접 수정
✅ QSELECT – 신속 선택을 통해 특정 속성의 객체만 선택
이제 레이어가 잘못 배치된 객체를 수정하는 2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3. 잘못된 레이어 배치 문제 해결 방법
✅ 방법 1: 유사 선택 기능 활용
📌 유사 선택이란?
잘못된 레이어에 있는 객체를 한 번에 찾아 수정하는 기능입니다.
🛠️ 사용 방법:
1️⃣ 잘못된 레이어에 있는 객체를 하나 선택
2️⃣ 우클릭 → 유사 선택(Similar Selection) 클릭
3️⃣ 같은 특성을 가진 모든 객체가 자동 선택됨
4️⃣ 속성 창(Ctrl + 1)에서 올바른 레이어로 이동
이 방법을 사용하면 직관적이고 빠르게 잘못된 객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방법 2: 신속 선택(QSELECT) 기능 활용
📌 신속 선택이란?
도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만 필터링하여 선택하는 기능입니다.
🛠️ 사용 방법:
1️⃣ Ctrl + 1을 눌러 속성 창(Properties) 열기
2️⃣ 속성 창 상단의 번개 모양 아이콘 (QSELECT) 클릭
3️⃣ 객체 유형에서 치수, 지시선, 지시 문자 중 선택
4️⃣ 연산자에서 도면층이 "0번"인 객체 선택
5️⃣ 확인 버튼을 눌러 해당 객체만 선택
6️⃣ 올바른 레이어로 변경 후 저장
🛠️ 활용 예시:
👉 잘못된 치수 객체만 선택: 객체 유형: 치수 → 도면층: 0번 → 같은 값 선택
👉 잘못된 지시선 객체만 선택: 객체 유형: 지시선 → 도면층: 0번 → 같은 값 선택
이 방법은 보다 세밀하게 필터링이 가능하여 대규모 도면 수정 시 매우 효과적입니다.
🔍 4. 최종 검토 및 저장 방법
도면 수정이 완료되면 반드시 최종 검토를 거쳐야 합니다.
✅ LAYWALK 명령어를 실행하여 모든 객체가 올바른 레이어에 있는지 확인
✅ LAYISO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레이어만 남기고 체크
✅ LAYON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체 도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점검
✅ 문제가 없으면 저장 후 도면을 공유
🎯 5. 결론: 레이어 관리는 습관이다!
✔ 처음부터 객체별 레이어를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면 도면 수정이 편리해집니다.
✔ 유사 선택 및 신속 선택 기능을 활용하면 잘못된 레이어 객체를 빠르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최종 검토를 철저히 해야 출력 및 협업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캐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싶다면, 지금부터 레이어 관리 습관을 들이세요!
'autolisp외 CAD 일반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잡한 도면, 이렇게 정리하세요! 배치 탭과 MV 창 완벽 가이드 (0) | 2025.02.28 |
---|---|
캐드 초보도 쉽게 배우는 '객체 분리' 필수 기능 정리! (0) | 2025.02.28 |
🛠 CAD 번호 자동 매기기 & 문자 감싸기 완벽 가이드 (0) | 2025.02.27 |
🏗 캐드에서 문자 외곽선 만들기 – TXTEXP 명령어 활용법 (0) | 2025.02.26 |
캐드 폴리라인(PL) 쉽게 만들기! 바운더리(BO) 명령어 활용법(BO, 실습도면6 몰탈선 쉽게 작성하기, 구적선 한방에 따내기)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