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설계에서 포장 계획도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경계석(포장 경계석, 직선 녹지 경계석, 곡선 녹지 경계석)**의 올바른 배치는 시공의 정확도를 높이고, 시각적으로도 깔끔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계석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방법과 CAD에서 정확하게 작도하는 기술을 소개합니다.
📌 1. 포장 경계석이 중요한 이유
포장 계획도를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포장 경계석의 정확한 위치 선정입니다.
✅ 포장 경계석의 역할
- 포장과 포장 사이의 구분을 명확히 함
- 차량 및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명확하게 구분
- 시공 후 미관과 유지보수의 용이성 증가
✅ 설치 시 고려해야 할 점
- 기존 도로 포장이 있는 경우, 새로운 포장 경계석과 연결되도록 배치
- 소형 블록, 마사토 포장 등 서로 다른 포장 재료가 만나는 곳에 경계석 배치
- 시공자가 혼동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도면 상에서 명확한 구분 필요
🏗 2. CAD에서 포장 경계석 작업 방법
📍 ① 배치 탭과 모형 탭 활용
- 도면을 작성할 때 배치 탭과 모형 탭을 적극 활용하여 세부적인 부분을 확대하여 확인
- 포장 경계석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고, 기존 도로 포장과의 연결부위를 조정
📍 ② 경계석을 직선과 곡선으로 구분
경계석은 직선 녹지 경계석, 곡선 녹지 경계석, 포장 경계석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 직선 녹지 경계석: 녹지와 도로가 직선으로 만나는 부분에 배치
- 곡선 녹지 경계석: 곡선 형태의 녹지 구간에 적용
- 포장 경계석: 도로와 보도 또는 차량과 보행자의 동선을 분리하는 구간에 설치
📍 ③ CAD 명령어 활용
CAD에서 포장 경계석을 정확히 배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활용합니다.
명령어기능
BB | 경계석을 직선과 곡선으로 나눠서 배치 |
QT | 포장 경계석 수량 표 작성 |
LT Scale | 선 종류 축척 조정 |
Match Properties | 기존 경계석 스타일을 복사하여 다른 곳에 적용 |
이러한 명령어를 적절히 활용하면 CAD에서 직선과 곡선을 효과적으로 구분하고, 시공 시 혼동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도면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 3. 선 종류 및 출력 시 유의 사항
포장 계획도를 출력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흑백 프린터에서도 경계석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선 종류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 출력 시 선 종류 구분 방법
경계석 유형CAD 선 종류추천 선 축척 (LT Scale)
직선 녹지 경계석 | 점선 (1점 3선) | 25~50 |
곡선 녹지 경계석 | 점선 (대시드) | 20~40 |
포장 경계석 | 실선 | 기본값 유지 |
✅ 흑백 출력 시 주의사항
- 색상만으로 구분하면 흑백 프린트 시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신속 선택 기능을 활용해 특정 색상의 경계석만 선택하여 스타일 조정
- 최종적으로 배치 탭에서 미리보기(PDF 출력) 후 확인 필수
🔎 4. 시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도면 만들기
설계자의 역할은 시공자가 도면을 보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도면을 작성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시설물 계획도와 함께 검토
- 포장 경계석과 시설물(벤치, 조형물, 조명 등)의 위치를 함께 고려
- 시설물이 경계석과 겹치지 않도록 조정
✅ 수량 표 작성 시 주의사항
- QT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량 표 작성
- 곡선과 직선 경계석을 구분하여 표기
- 경계석 재료비 차이를 고려하여 명확한 구분 필요
🏁 5. 최종 출력 및 검토
포장 계획도 작성을 마친 후, 배치 탭에서 최종 확인 후 PDF로 출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최종 점검 체크리스트
✔ 직선, 곡선, 포장 경계석이 정확히 구분되었는가?
✔ 선 종류(점선, 대시드, 실선)가 올바르게 적용되었는가?
✔ 시설물과 겹치는 부분이 없는가?
✔ 흑백 출력 시에도 구분이 명확한가?
이 과정을 철저히 수행하면, 시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도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장 계획도에서 경계석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방법과 CAD에서 올바르게 작도하는 법을 다뤘습니다.
📌 핵심 정리
✔ 포장 경계석을 올바르게 배치하여 시공의 정확도를 높인다.
✔ CAD에서 선 종류(직선, 곡선, 포장)를 구분하여 적용한다.
✔ 흑백 출력 시에도 구분 가능하도록 선 종류를 조정한다.
✔ 최종적으로 시설물 계획도와 함께 검토하여 완성도를 높인다.
올바른 포장 계획도를 작성하면 현장에서의 시공이 훨씬 원활해지고, 설계의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더 나은 설계를 위해, 오늘 배운 내용을 실무에 적용해보세요! 🚀
💬 여러분은 CAD에서 포장 계획도를 작성할 때 어떤 점이 가장 어렵나요?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