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 기초편

CAD기초_3차시_1. 도면한계(LIMITS) 살펴보기 [정말 몰라도 좋습니다.]

hyena382 2025. 6. 26. 10:00

 

 

AutoCAD LIMITS 명령어, 정말 안 써도 될까? 실무 기준 명쾌 정리!

AutoCAD를 처음 배우거나 가르치다 보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LIMITS입니다.
하지만 실무자들 사이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그거 요즘은 안 써요.”

과연 정말 그럴까요?
이 글에서는 LIMITS 명령어의 역할, 과거와 현재의 사용 차이, 그리고 실무에서의 활용 유무를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 LIMITS 명령어란?

🔹 정의

AutoCAD에서 LIMITS 명령어는 **도면 작성 가능 범위(작업 한계 영역)**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해, 도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좌표의 최소/최대 값을 정의합니다.

🔹 입력 방법

Command: LIMITS  
Specify lower left corner <0.0000,0.0000>: 0,0  
Specify upper right corner <420.0000,297.0000>: 420,297  
 

위의 예시는 A3 용지 기준의 한계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 예전에는 왜 많이 썼을까?

AutoCAD 2000~2014 버전까지는 새 도면을 만들 때 LIMITS가 활성화된 상태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시에는 배치(Layout) 탭보다는 모형(Model) 탭 중심의 작업이 많았기 때문
  • 출력 범위를 제한하여 스크린 외부 작업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됨
  • 프린터와 PDF 출력 호환이 제한적이었던 시절, 작업 영역 정의가 유용했음

🔧 현재는 왜 잘 안 쓸까?

✅ 기본 비활성화 (OFF)

  • AutoCAD 2016 이후부터는 새 도면 템플릿에서 LIMITS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OFF) 상태입니다.

✅ 작업 공간이 무제한 확장됨

  • 현재는 모형 공간에서 사실상 무제한으로 도면 작업이 가능합니다.
  • 스크롤 확대/축소만으로도 원하는 작업 영역 확보가 쉬워졌기 때문입니다.

✅ 출력은 Layout(배치 탭)에서 진행

  • 실제 출력은 Layout 탭에서 Viewport를 설정하고, 축척을 지정해 처리합니다.
  • 따라서 LIMITS는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실무에서 LIMITS 명령어를 쓰면 생기는 문제?

상황 설명
출력 오류 대부분 LIMITS 설정과 관계 없음
객체 생성 오류 LIMITS 범위 밖으로 그리면 생성되지 않음 (단, LIMITS ON일 때)
작업 불편 무의식적으로 제한된 영역 안에서만 작업하려는 경향 생김
 

✅ LIMITS 명령어, 이렇게만 기억하세요

  •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반드시 쓸 필요는 없다.
  • 도면의 학습용 한계 설정 또는 교육용 프린트 범위 이해에는 도움 됨.
  • 실무에서는 모형 공간은 무제한, 출력은 배치탭 중심으로 작업한다.

🧪 실제 테스트 결과

  1. LIMITS ON 후, 0,0~420,297로 설정
  2. 모델 공간에서 그리드가 해당 영역으로 제한됨
  3. Viewport를 사용한 Layout 출력에는 아무 영향 없음
  4. 도면 객체가 LIMITS 범위 밖에 그려져도 출력 가능 (LIMITS는 출력 제한 X)

🧩 결론

LIMITS는 AutoCAD의 구시대적 기능입니다.
하지만 AutoCAD의 도면 구조(Model vs Layout)를 배우는 과정에서 한 번쯤 경험해볼 가치는 있습니다.

💡 실무에서는 LIMITS보다 더 중요한 개념은 다음입니다:

  • 배치 탭(Viewport) 활용법
  • 출력 축척 설정
  • 도면 템플릿(.dwt) 관리

AutoCAD의 변화된 구조를 잘 이해하고, 낡은 습관은 과감히 내려놓는 것이 실무자로서의 성장에 중요합니다.